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장애인 권리의 이해 본문

장애인 권리의 이해

장애인 권리의 이해
장애인 권리의 이해

장애를 가진 사람이든, 아니든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기본권이 있습니다. 헌법에 보장된 권리가 그 내용인데요. 저희 모두가 중요하게 여기는 기본권 중에서 장애인들이 현재 어떠한 권리에서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합시다. 생존권입니다. 생존권은 의·식·주처럼 생활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를 요구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그러나 장애인의 경우 장애로 인한 생활에서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고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장애인 빈곤 비율이 30% 정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장애인 대상의 학대 범죄 또한 문제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장애인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기본적으로 존중되어야 하는 생존권 보장에 대한 지원들이 필요합니다.

노동권, 교육원

노동권입니다. 노동권은 노동의 능력과 의욕을 지닌 사람이 사회에 근로 할 기회의 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그러나 현재 장애인의 경우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의 수의 제한과 장애로 인해서 경제활동 접근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학령기 시기에 경제활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지원하는 교육적 지원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교육권입니다. 교육권은 교육을 받을 권리, 교육을 할 권리 또는 양자를 포함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생애 주기에 따른 교육적 지원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현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유치원부터 고등과정까지를 의무교육화하고 있고, 고등 과정 이후에 전공과와 만 3세 이전의 영유아 과정의 경우 무상 교육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애인들이 자신의 요구에 따른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 교육 관련 기관 확대가 필요하고, 특수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의 확보 또한 필요합니다.

이동권, 건강권, 모성권

네 번째는 이동권입니다. 이동권은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데 불편함이 없이 움직일 권리입니다. 장애인들의 이동을 위한 지원이 예전에 비해서는 많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장애인들이 자신이 원하는 때, 원하는 방법을 통해서 이동하기 위한 시설, 안내, 관련 편의시설에 대한 지원의 확대는 필요한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저상 버스의 확대나 지하철 이용을 위한 편의시설 지원의 확대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섯 번째는 건강권입니다. 장애인은 장애 자체와 관련 상의 건강 문제로 인해서 어려움을 지니게 됩니다. 건강은 모든 활동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장애인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전문 지원 시스템의 확대가 필요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모성권입니다. 모성권은 임신, 출산, 육아뿐만 아니라 여성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권리를 말합니다. 여성 장애인의 경우 우리나라 사회에서 여성 그리고 장애인 이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들을 위한 이들의 복지를 위한 건강과 정신·보건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