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특수교육 대상자
- 지적장애인의 특성
- 장애인복지법
- 청각장애 정의
- 시각장애
- 지적장애
- 특수교육
- 사회적인 특성
- 사회 적응
- 윌리엄스 증후군
- 자폐성 장애
- 자폐성 장애 원인
- 장애 유발 원인
- 시각 장애잉ㄴ
- 지능검사 방법
-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 진단 방법
- 모성권
- 청각 장애 지원
- 의사소통장애
- 청각장애
- 교육지원방안
- 행동수정 기법
- 장애 유형
- 인지적 특성
- 특수교육법
- 청각장애 특성
- 지적장애 학생
- 시각장애학생
- 장애인 관련 지원법
- Today
- Total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지적 장애 유형별 특성 본문
지적 장애 유형별 특성
지적 장애 특성을 유형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지적장애의 유형을 얘기할 때 염색체 이상에 의한 유형들을 흔히 얘기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다운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가 3개인 경우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23쌍의 염색체,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염색체 이상이라고 하면 염색체가 46개보다 많거나, 아니면 더 적거나, 때로는 특정한 염색체의 구조가 조금 이상하거나, 아니면 크기라든가 형태가 약간 달라진 경우를 얘기합니다. 다운증후군은 하나 더 많은 상태이죠. 그래서 21번 염색체가 3개인 염색체라고 얘기를 합니다. 다운증후군은 특징적 외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납작한 얼굴에 눈꼬리가 올라가 있고, 눈가에 덧살이 있으면서 코, 귀, 입이 작죠. 그리고 손가락과 발가락도 짧습니다. 상당히 호감이 가는 인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귀여움을 받기도 하고요. 사실상 실제로 다운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상당히 일반적으로 사회성이 좋습니다.
취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은 염색체 자체의 구조와 형태가 달라진 대표적인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다운증후군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염색체 이상의 지적 장애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취약 x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사회성에 대한 불안증상을 보이고요. 다른 사람을 회피하는 행동들을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단어라든가 구를 되풀이하는 언어적 문제를 많이 보이기도 합니다.
프래더-윌리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은 15번째 염색체의 부족으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가장 큰 특징은 비만입니다. 그래서 과도한 식욕을 보이고요. 음식 조절에 상당히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폭식을 하게 되고 그러면서 비만을 갖게 됩니다. 여러 가지 특징적인 신체적 외모를 함께 보이기도 하고요. 과식 때문에 생겨난 위험한 상태이기도 합니다. 프래더-윌리는 지적장애뿐만 아니라 학습장애도 함께 가지고 있고, 충동성이라든가 공격적인 행동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기 스스로를 자해하는 행동들이 같이 보이게 되고, 아동기 때 이 증상이 심해지게 되면 2차 성징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그런 특징도 보이고 있죠. 윌리엄스 증후군은 7번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적장애 정도는 대부분 가벼운 정도, 경도에서 중등도 정도의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얘기를 하죠.
윌리엄스 증후군
윌리엄스 증후군도 마찬가지로 특징적인 외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 인중이 길다든가, 입이 크다든가 하는데, 대체로 윌리엄스 증후군도 잘 웃고, 또 호감적인 외향을 함께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히나 매우 사교적이고 언어성이 상당히 괜찮고, 다른 사람과 친숙하게 잘 지내는 부분들이 보이는데, 대부분의 케이스들을 보게 되면 집중력은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좋은 지원을 하거나 함께 노력을 하게 되면 성장할수록 나아지는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시공간적인 과제에 어려움이 있거나, 미세한 작은 운동능력에 어려움이 있다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언어 능력은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이고요. 그리고 사회성도 괜찮다는 특징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유전되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유아가 많은 음식물에 들어 있는 아미노산 중의 하나인 페닐알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이 태어남으로써 발생을 하게 되는데요. 지적 장애가 심한 경우가 생기게 되고요. 공격 행동이라든가, 과잉 행동들을 보이게 됩니다. 요새는 선별 검사를 하기 때문에 페닐케톤뇨증을 가진 아이가 발생이 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태아 알코올 증후군은 임신 중에 산모가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에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입니다. 그래서 태어났을 때 아이가 신체적인 기형을 가질 수 있고요. 각종 여러 가지 합병증을 볼 수가 있는데 지적장애 라든가, 성장장애 이런 것들이 보통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 물론, 태아 알코올 증후군을 유발하는 알코올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얼마나 마셔야 하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겠지만 한 잔의 술도 상당히 위험합니다.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권리의 이해 (0) | 2022.07.28 |
---|---|
장애인 관련 대표 법률 (0) | 2022.07.28 |
특수교육에서 말하는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0) | 2022.07.27 |
자폐성 장애 원인과 특성 (0) | 2022.07.27 |
자폐성 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지원방안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