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각장애
- 윌리엄스 증후군
-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 사회적인 특성
- 청각장애 특성
- 자폐성 장애
- 장애인 관련 지원법
- 진단 방법
- 시각장애
- 시각 장애잉ㄴ
- 청각장애 정의
- 인지적 특성
- 시각장애학생
- 자폐성 장애 원인
- 지적장애인의 특성
- 특수교육 대상자
- 장애인복지법
- 사회 적응
- 지능검사 방법
- 행동수정 기법
- 지적장애 학생
- 특수교육법
- 장애 유형
- 의사소통장애
- 특수교육
- 모성권
- 청각 장애 지원
- 지적장애
- 교육지원방안
- 장애 유발 원인
- Today
- Total
목록청각장애 (3)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청각장애의 유형별 분류 청각 장애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식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청력 손실이 얼마큼 진행되어 있는지, 그 손실의 정도를 알아볼 수도 있고요. 그다음에 청각 기관이 어디에 손상이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도 우리가 구분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청력 손실이 언제 일어났는지에 따라서, 그 손실 시기에 따라서도 구분을 하게 됩니다. 청각 손실치에 따른 분류 먼저 청각 손실치에 따른 분류는 청력손실 정도를 dB 단위로 제시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가장 약한 소리는 0dB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0dB을 기준으로 청력 손상의 정도를 나타내게 되죠. 청력 손실의 정도는 경도(Mild), 중등도, 준고도, 고도, 최고도에 이르기까지 정도에 따라서 구분을 합니다. 먼저 경..

청각장애 진단 방법과 특성 청각장애 진단을 위한 청력검사에는 주관적 청력검사와 객관적 청력검사가 있습니다. 주관적인 청력검사는 소리 자극에 대한 행동반응을 검사하는 게 주관적 청력검사고요. 반면에, 객관적인 청력검사는 귀의 전기 생리적 반응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학교에서는 대부분 주관적 청력검사에 의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을 하게 되죠. '순음청력검사'는 가장 대표적인 청력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력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청력장애가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청력 손실이 있는지 그리고 그 유형은 무엇인지를 검사를 하게 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사람이 의사소통을 할 때 가장 보통의 회화 영역이 되는 주파수의 범위의 소리를 들려주고,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

청각장애 법적 교육적 정의와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 청각장애는 주로 두 가지 관점으로 정의합니다. 첫 번째, 의학적인 관점과 교육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의학적인 관점은 청각의 손실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서 정의를 하게 되고요. 반면에 교육적인 관점에서는 청력손실 자체가 언어 사용이라든가, 공부를 하는 데, 교육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서 정의를 하게 됩니다. 먼저 의학적인 관점에 따라서 살펴보겠습니다. 의학적인 관점의 정의는 대표적으로 「장애인복지법」이라는 법적 정의에 따라서 볼 수 있는데요. 청력손실에 따라서 청력을 사용하는 의사소통이 얼마큼 가능한지 여부를 강조를 합니다. 청력 손실이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다른 사람의 말을 얼마만큼 명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가? 그리고 평형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