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인지적 특성
- 청각 장애 지원
- 모성권
- 시각장애학생
- 시각 장애잉ㄴ
- 윌리엄스 증후군
- 자폐성 장애 원인
- 특수교육 대상자
- 의사소통장애
- 장애인 관련 지원법
- 특수교육법
- 시각장애
- 지적장애인의 특성
-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 진단 방법
- 청각장애 정의
- 행동수정 기법
- 지적장애 학생
- 사회 적응
- 장애인복지법
- 장애 유형
- 청각장애 특성
- 장애 유발 원인
- 특수교육
- 청각장애
- 자폐성 장애
- 사회적인 특성
- 지적장애
- 지능검사 방법
- 교육지원방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진단 방법 (1)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청각장애 진단 방법과 특성 청각장애 진단을 위한 청력검사에는 주관적 청력검사와 객관적 청력검사가 있습니다. 주관적인 청력검사는 소리 자극에 대한 행동반응을 검사하는 게 주관적 청력검사고요. 반면에, 객관적인 청력검사는 귀의 전기 생리적 반응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학교에서는 대부분 주관적 청력검사에 의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을 하게 되죠. '순음청력검사'는 가장 대표적인 청력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력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청력장애가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청력 손실이 있는지 그리고 그 유형은 무엇인지를 검사를 하게 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사람이 의사소통을 할 때 가장 보통의 회화 영역이 되는 주파수의 범위의 소리를 들려주고,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2022. 7. 30. 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