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각장애 특성
- 지적장애
- 교육지원방안
- 모성권
- 특수교육법
- 장애인복지법
-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 시각 장애잉ㄴ
- 자폐성 장애 원인
- 지적장애인의 특성
- 시각장애
- 지능검사 방법
- 지적장애 학생
- 장애 유발 원인
- 의사소통장애
- 행동수정 기법
- 청각 장애 지원
- 장애 유형
- 시각장애학생
- 인지적 특성
- 장애인 관련 지원법
- 진단 방법
- 윌리엄스 증후군
- 청각장애 정의
- 청각장애
- 자폐성 장애
- 사회적인 특성
- 특수교육
- 사회 적응
- 특수교육 대상자
- Today
- Total
목록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20)
장애인 권리, 지적장애 지원방안, 청각장애 진단, 특수교육 지원 방안

시각장애의 정의와 원인 시각장애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각장애는 시각계의 손상에 의해서 시기능이 제한된 경우를 말합니다. 시기능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력 그리고 눈을 움직이지 않고 보았을 때 볼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시야 등에 제한이 있는 경우를 의미하죠. 그래서 장애인복지법이라는 법적인 정의를 보게 되면, 네 가지의 경우를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보통 시력과 시야의 제한을 두고 장애복지법에서 시각장애를 규정합니다. 그렇지만 이런 법적인 장애는 교육적으로는 조금 유용성이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시력과 시야의 제한이 교육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교육적으로는 읽기 매체를 기준으로 정의를 하죠. 그래서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는 시각계의 ..

시각장애 유형과 진단, 특성 시각장애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조건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시각장애를 갖게 되는 시기가 언제냐에 따라서 상당히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데요. 만약에 선천성으로 시각장애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 촉각이라든가 다른 감각에 특히 청각, 그런 감각에 의존하게 되는 교육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죠. 하지만 후천성 시각장애의 경우에는 시각장애를 갖기 이전의 시각 경험이 어떠한 것인가에 따라서,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서 이후의 교육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시각장애 진단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몇 가지 검사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많이 사용하는 검사가 바로 시력검사죠. 특히 여러분이 안과라든가..